대출 / / 2023. 7. 6. 17:20

하나은행 주택신보 전세자금대출 조건 | 2025년 보증 혜택과 승인팁 총정리

반응형

“전세 계약은 코앞인데, 은행에선 보증이 필요하다는데…?” 하나은행 주택신보 전세자금대출은 보증보험을 활용해 대출 승인을 높일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소득이 낮거나 신용이 부족해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 반환 보증서를 기반으로 대출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죠.

 

오늘 글에서는 하나은행의 보증형 전세대출 조건, 진행 흐름, 주의할 점까지 2025년 기준으로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하나은행 주택신보 보증형 전세자금대출 조건과 절차를 설명하는 감성 일러스트

 

 

 

1. 하나은행 주택신보 전세자금대출이란?

 

  •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금 반환 보증을 활용한 보증형 전세대출
  • 보증서가 있으면, 신용이 낮아도 승인이 쉬워지는 구조
  • 전세 계약을 이미 했거나 예정인 경우에 적합

 

 

 

 

2. 신청 조건 요약

 

항목 내용
대상 무주택 세대주 또는 세대원
소득 기준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보증기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대출 한도 보증 한도 내 최대 2억 원 
금리  연 3.2~4.9% (2025년 기준, 우대금리 적용 시)
상환 방식 만기일시 또는 원리금 균등분할
필요 서류 전세계약서, 신분증, 소득 증빙, 보증서 등

 

 

 

 

 

 

3. 실제 사례 요약

 

2025년 2월, 인천 거주 직장인 A 씨

  • 연소득: 약 3,400만 원
  • 전세계약: 1.8억
  • 신용점수: KCB 640점
  • 보증서를 통해 1억 5천만 원 승인됨
  • 금리: 4.3% /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

 

 

 

 

4. 주의할 점은?

 

  • 보증서 발급이 안 되면 대출도 불가
  • 보증서 수수료 있음 (대출금의 0.1~0.2%)
  • 전세계약서에 확정일자 필수

 

 

 

 

결론

 

하나은행 주택신보 보증형 전세자금대출은 은행 심사보단 보증 심사를 통과하는 게 핵심입니다. 신용점수에 자신이 없더라도, 보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면 충분히 대출이 가능하죠. 👉 조건만 맞는다면, 빠르게 한도 조회하고 전세계약 준비를 시작해 보세요!

 

 

 

 

 

전매제한 끝나는 단지, 지금 청약 넣어도 될까? | 2025 분양권 시장 전략

“이제 전매 가능하대요! 지금 청약 넣으면 좋은 건가요?” 2025년부터 2020~2021년 청약한 단지들의 전매제한이 본격적으로 해제되기 시작합니다. 분양 당시 전매기간 3~5년이었던 아파트들이 이제

ggreen-gold.tistory.com

 

 

전세 계약 끝났는데 보증금 못 받았다면? 정부지원 대출 + 법적 보호 완벽 정리

전세 계약이 끝났는데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요즘 이런 상황, 드물지 않게 벌어지고 있어요. 단순한 전세사기뿐 아니라, 경매 진행 중이거나 집주인의 채무 문제로 보증금 반

ggreen-gold.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